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당명과 약칭 == ||<tablebgcolor=#fff,#1c1d1f><tablealign=center>[[한국어]] ||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(國家社會主義獨逸勞動者黨)[br]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(民族社會主義獨逸勞動者黨)[*A] || ||[[독일어]] ||'''N'''ational'''s'''ozialistische '''D'''eutsche '''A'''rbeiter'''p'''artei[*B] || ||[[영어]] ||National Socialist German Workers' Party || 정식 당명은 '''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'''이고 본 문서의 표제어도 이 명칭이지만, 이것이 정확한 번역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. '[[네이션|Nation]]'은 서양권에서 '민족', '국가'와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는 단어이며, 한자어로는 그 의미가 여럿에 해당될 수 있기 때문. 따라서 해석의 관점에 따라 "국가와 국민보다는 [[게르만족|게르만 민족]]과 [[아리아인]] 혈통으로서의 집단 정체성을 훨씬 더 많이 강조"했음을 근거로 '''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'''이 더 정확한 맥락의 번역명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. 다만 '[[네이션|Nation]]'이라는 단어가 '민족'뿐 아니라 '국가'와 '국민'을 뜻하기도 하는 등 서양 근대사의 특수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, '국가'로 번역하든 '민족'이라고 번역하든 상관없으며 '국민'으로 번역하더라도 상관없다는 주장도 있다. 실제로 이 용어는 동양 사회의 관점에서 흔히 떠올리는 혈통적 민족주의에 한정되지 않는다. 한편 정식 약칭은 [[독일어]] 명칭의 앞글자를 그대로 딴 '''NSDAP'''(엔에스데아페)였고, [[나치 독일]] 체제 당시 당원들은 스스로를 지칭할 때 보통 'NSDAP'와 함께 '국가사회주의자들(민족사회주의자들)'이라는 약칭을 사용했다. '''오늘날 대다수가 이 당의 별칭으로 알고 있는 '나치(Nazi)'는 비공식적인 약칭이며, 반대파 인사들이 사용한 멸칭이었다.'''[* 오늘날 [[더불어민주당]]을 '더불당', 옛날 [[자유한국당]]을 '자유당'으로 당명에서 앞부분만 따 멸칭을 만들어 퍼뜨린 것과 유사하다.] 따라서 '나치'당이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것은 이 당 사람들의 [[발작버튼]]이었다. 특히 히틀러는 '나치'는 물론이고 당명을 줄여 부르는 행위 자체를 매우 싫어했다고 한다. 이 멸칭은 당명의 맨 앞부분 'National'이 [[독일어]] 발음으로 '나치오날(Nazional)'인 것에서 유래했다고 해석된다. 일각에서는 당명의 맨 앞 단어 'Nationalsozialistische'에서 'Na'와 'zi' 두 부분을 붙여 탄생시켰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. 국가사회주의라는 용어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[[보수혁명 운동|독일의 일부 정치세력]]들이 서구의 "[[자본주의]]"와 초기의 소련 및 각국 사회주의 세력의 "[[국제주의]]적 [[사회주의]]" 같은 외세의 영향력에 맞서기 위해(반자본주의+반국제주의=민족주의적 사회주의)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다. 당 강령이나 정책은 사회주의,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다소 모순되기도 하는 여러 사상, 이념이 혼재되어 있으며([[지도자 원리]] 문서로.) 초기엔 독일 노동자당이었고 국가주의 사회주의란 유대인에 오염된 서방식 자본주의를 반대하는 '독일식' 사회주의, 노동자를 강조하기 위해서 집어넣었다. 원래 마르크스가 나타나기 전 독일 공산주의의 주류는 독일이라는 국가 단위 안에서 단결된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었다. 그래서 1840~60년대 독일 공산주의 지도자들은 프로이센이라는 국가 중심의 독일통일을 강력히 지지했었다. 주류 공산주의에서 국가주의, 민족주의를 배제하게 된 것은 마르크스주의가 대세가 된 1870년대 이후의 일이었다. 마르크스주의가 대두된 이후에도 독일에서는 여러 사회주의 계파가 난립하고 있었고, 나치당은 19세기 중반 독일 공산주의의 주류 이론이었던 '사회주의+민족주의(국가주의)'의 후예 중 하나였다. 국내 번역으론 국가사회주의로 많이 쓰였다가 최근엔 민족사회주의로 표기하려고도 하는데 본래 "국가사회주의"(state socialism)라는 말은 "[[사회민주주의]]자"들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의미가 확장되어 국가를 이용하는 사회주의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확장됐다. 영어권에서도 나치즘이나 [[폴크|Volk]][* 보통 민족이나 인민으로 번역하나 독일어에만 있는 고유의 뜻 때문에 정확한 번역은 어렵다. 나치 집권 후 괴벨스가 Volk를 독일 민족에만 쓰는 것으로 결정하고 다른 민족에는 사용을 금지했다.](영어 표기로는 [[http://en.wikipedia.org/wiki/Folk|Folk]]), [[라이히|Reich]]([[국가]], [[제국]], [[영어]]로는 'State'라고 번역할 수 있다.)의 제대로의 의미를 번역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대로 쓰는 추세고 따라서 나치즘이나 나치당을 해외 문헌에서 검색할 땐 NSDAP Nazi로 써도 별 무리가 없다. 독일에서는 현재 NS(National Sozialistische)라는 약칭으로 지칭하기도 한다. 사실 Nazi 자체가 금기어에 가깝다. 통칭 '절 표시([[卍]])'와 유사한 나치의 상징은 '만자문' 또는 '만자십자장'이라고 한다.[* 卍자와 하켄크로이츠는 불교에서 혼용된다.] 일반적으로는 '[[스와스티카]](Swastika)'로 불리며[* [[칼 세이건]]의 저서 《[[혜성]]》에 이 卍자 무늬의 상징성과 신성성에 대해 저술한 내용이 있다. '''원래는 기호학적으로 신성한 상징'''이었으나 나치 독일이 선점/사용해버려서 [[신성모독|신성이 나락으로 훼손]]되었고, 이후 금기시되었다는 내용이다. 인도에서 유래된 게르만 전통 표식이라는 이야기도 있다. 卍의 영향을 받은 것은 맞다. 빨간 바탕에 [[스바스티카]]를 넣는 건 히틀러가 직접 디자인했는데 卍를 뒤집어 45도 비틀어서 혁명적이고 역동적인 형태로 만들었다.], 독일어로는 '[[하켄크로이츠]](Hakenkreuz)'라고도 불린다. 반면, 히틀러가 역사에 전면적으로 등장하려던 전간기 당시 [[일제강점기]] 조선의 신문들은 '(독일) 국수당'이라고 표기하기도 했으나, 히틀러 집권 후에는 대부분 '나치쓰' 등으로 표기했다.[* 당시 외국어 표기에 의한 나치 고관 인명들의 예시를 들면 유성 파열음에 된소리가 많이 쓰였는데, 히틀러는 히틀러라고 쓰기도 하지만 힛틀러라고도 표기되었다. [[헤르만 괴링]]의 경우는 '꾀링', '꾈링' 등으로 표기되었으며(일본어 표기를 받아들여 '게링'이라고 표기한 경우도 소수 있음.), [[파울 요제프 괴벨스]]의 경우 '괴뻴스', '꾀벨스', '꾀뻴스' 등으로 표기, [[요아힘 폰 리벤트로프]]의 경우는 '리뻰트롭' 등으로 표기되었다.]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